본문 바로가기



old

영유아 국가 필수 예방접종별 정보 - 일본뇌염 (Japanese Encephalitis (JE))


 
일본뇌염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리면 감염됩니다.
일본뇌염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95% 이상의 환자에서 증상이 없이 지나가며, 일부에서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이나 바이러스성
수막염으로 이행되기도 하고 드물게 뇌염으로까지 진행됩니다. 뇌염으로 진행된 경우 5~30%의
높은 사망률을 보입니다.
일본뇌염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일본뇌염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고 호흡장애, 순환장애, 세균감염 등에 대해서는 보존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일본뇌염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일본뇌염예방접종을 통해 일본뇌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일본뇌염 백신에는 사백신과 생백신이 있고, WHO와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사백신을 권장합니다.
1) 사백신의 경우
- 접종 대상 : 모든 영유아
- 접종 시기
  : 생후 12~24개월에 1주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2차접종 후 12개월 뒤 3차접종
  : 만 6세, 만 12세 때 각각 1회접종
2) 생백신의 경우
- 접종 대상 : 모든 영유아
- 접종 시기 : 생후 12~24개월에 1회 접종하고 12개월 후 2차접종하며 만 6세 때 3차접종
일본뇌염 예방접종후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일본뇌염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실제로 드뭅니다.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것은 접종 후 발적, 통증과 주사부위 부어오름, 발열, 발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주 드물게 중추신경계 이상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niptmp.cdc.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