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iptmp.cdc.go.kr/vaccinfo/images/title_02_15.gif) |
|
|
|
![](http://niptmp.cdc.go.kr/vaccinfo/images/img_info_15.gif) |
|
|
Hib 뇌수막염은 어떻게 전파될까요?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의 전염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흡기 비말에 의해서
상기도를 통하여몸속으로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
Hib 뇌수막염 질환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뇌막염, 후두개염, 폐렴, 화농성 관절염, 봉소염 등의 침습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
Hib 뇌수막염 질환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침습성 Hib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는 입원 하여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
|
Hib 뇌수막염는 어떻게 예방하나요? |
히브 뇌수막염 예방접종을 통해 히브 뇌수막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의 비용효과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국가에서는 모든 영유아에게 뇌수막염 예방접종을
권장하지 않고 감염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 접종을 권장 |
|
1) 접종 대상 :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은 고위험군에게 우선접종하도록 권장 |
- 생후 2개월에서 5세 이하의 소아로서 Hib감염의 위험이 높은 소아
- 침습성 Hib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소아
ㆍ 겸상적혈구증(sickle cell disease), 비장 절제술 후, 항암치료에 따른 면역저하, 백혈병,
HIV 감염, 면역글로불린 결핍, 특히 IgG2 결핍 등
- 가족내 발병이 있는 접촉자
- 60개월 이상의 소아 및 성인 중 침습성 Hib 감염의 고위험군
ㆍ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asplenia)
ㆍ면역결핍상태 (특히 IgG2 결핍)
ㆍ면역저하상태 (항암치료에 따른 면역저하, HIV 감염) |
|
2) 접종 시기 |
-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 생후 12~15개월에 1회 추가접종
※ 단 접종약에 따라 접종시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 |
|
Hib 뇌수막염 예방접종후의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
Hib 뇌수막염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실제로 드뭅니다.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것은 접종 후 종창, 발적, 통증, 발열, 보챔 등 이상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
출처: http://niptmp.cdc.g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