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Z 플립 FE 유출 정리
가격, 성능, 디자인까지 주요 스펙은
삼성이 폴더블폰 라인업을 한층 더 넓힐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 온리크스(OnLeaks)와 SammyGuru가 협업해 공개한 갤럭시 Z 플립 FE의 렌더링 이미지와 관련 정보가 IT 커뮤니티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데요, 이제껏 소문만 무성했던 ‘보급형 플립폰’의 실체가 어느 정도 윤곽을 드러낸 것으로 보입니다.
Z 플립 FE는 이름 그대로 기존 플래그십 폴더블 시리즈의 팬에디션(FE) 모델로, 가격 접근성을 높이면서도 핵심 기능은 유지한 실속형 제품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공개된 디자인과 사양, 출시 전망 등을 종합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디자인은 Z 플립 6와 거의 동일
다만 두께는 살짝 증가

Z Flip 6
렌더링 이미지를 보면 갤럭시 Z 플립 FE는 외형적으로 Z 플립 6와 거의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3.4인치 커버 디스플레이는 그대로 유지됐고, 접었을 때의 전체적인 사이즈나 디자인 구성도 큰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두께는 소폭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Z 플립 6가 6.9mm였던 데 비해 플립 FE는 7.4mm 정도로 추정되는데요, 내부 설계나 칩셋 구조 변경에 따른 변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엑시노스 2400e 탑재?
전력 효율을 고려한 선택

가장 눈에 띄는 사양 변화는 프로세서 부분입니다. 갤럭시 Z 플립 FE에는 기존 플래그십 모델과 달리 삼성의 자체 칩셋인 엑시노스 2400e가 탑재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칩셋은 엑시노스 2400의 전력 효율을 개선한 파생 버전으로, 고성능보다는 일상 사용에 최적화된 균형 잡힌 퍼포먼스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패키징 방식 역시 기존 플래그십 모델에서 사용되던 FOPLP 방식 대신,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IPoP 방식이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IPoP는 발열 관리에 있어 약점이 있지만, FE 라인업 특성상 비용 대비 효율을 우선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스펙은 기대 이상

카메라 구성은 유출된 정보에 따르면 플립 FE에는 5천만 화소 메인 카메라, 1,200만 화소 초광각, 그리고 1천만 화소 전면 셀피 카메라가 탑재될 예정입니다. Z 플립 6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며, 실사용에서 큰 차이를 느끼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디스플레이의 경우도 내부에는 6.7인치 FHD+ AMOLED 폴더블 디스플레이, 120Hz 주사율이 그대로 유지될 전망입니다.
반면 Z 플립 7은 더 커진 약 4인치 커버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플래그십과 보급형 간 구분이 더 명확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충전 속도는 25W
무난한 수준

갤럭시 Z 플립 FE는 최근 중국 3C 인증을 통과했으며, 여기서 25W 유선 충전 지원이 확인됐습니다. 빠르다고 보긴 어렵지만, 가격대를 고려하면 충분히 납득 가능한 수준입니다.
기타 스펙으로는 8GB 또는 12GB RAM, 128GB 또는 256GB 저장 공간, One UI 7 + 안드로이드 15 기본 탑재, 그리고 7년간의 OS 업데이트 지원이 예상됩니다.
출시 시점은?
플립 7 이후 별도 공개 가능성

출시 시점은 Z 플립 7 및 폴드 7과 함께 언팩 무대에 오를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별도로 출시될 가능성이 더 높은 상황입니다. 일각에서는 2025년 여름~가을 사이에 공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기도 합니다.
가격은 아직 미정이지만, 기존 FE 시리즈의 전략을 따를 경우 Z 플립 7보다 약 100~150달러 저렴한 가격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Z 플립 6의 출시 가격이 $1,099(한화 약 162만 원)였던 점을 고려하면, 플립 FE는 $949(한화 약 140만 원) 전후로 책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데, 만약 이 정도 가격 차이로 출시된다면, 보급형이라 불리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 않나 싶은 생각도 드네요.
보급형 폴더블 시장
이제 본격적인 경쟁 구도 진입?

갤럭시 Z 플립 FE는 삼성의 폴더블 라인업을 프리미엄 단일 구조에서 다층 구조로 확장하는 시도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 모토로라도 레이저 시리즈를 통해 보급형 폴더블 모델을 준비 중이어서, 2025년에는 실속형 폴더블폰 시장을 놓고 본격적인 경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삼성 입장에서는 브랜드 신뢰도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보장, 안정적인 생태계를 무기로 새로운 유저층을 유입시킬 수 있는 기회를 노리는 셈인데요, 폴더블폰의 진입 장벽을 낮추려는 시도가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
음악감상 어플 추천, 스포티파이 SPOTIFY 프리미엄 가격 요금 저렴하게
음악감상 어플 추천, 스포티파이 SPOTIFY 프리미엄 가격 요금 저렴하게 음악 스트리밍 어플 중에서...
blog.naver.com
유튜브 프리미엄 멤버십 가격 4천원 대 싸게 보는법
유튜브 프리미엄 멤버십 가격 4천원 대 싸게 보는법 좋아하는 영상을 광고 없이 보고, 백그라운드 재생으로...
blog.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