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niptmp.cdc.go.kr/vaccinfo/images/img_info_13.gif) |
|
|
장티푸스는 어떻게 전파될까요? |
환자나 보균자의 소변이나 변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먹으면 감염되고 더러운 물이 섞인
해저에서 자란 갑각류나 어패류(특히 굴), 배설물이 묻은 과일 등을 통해 감염됩니다. |
|
장티푸스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5~21일 정도의 잠복기를 지나 환자는 고열, 복통, 두통, 피로감 등이 나타납니다.
어린 소아에서는 설사가 나타나는 반면, 성인에서는 변비를 흔히 호소합니다. |
|
장티푸스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치료는 항생제 요법이 주를 이룹니다. |
|
장티푸스는 어떻게 예방하나요? |
장티푸스 예방접종을 통해 장티푸스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
1) 접종 대상 : 장티푸스 예방접종은 고위험군에게 우선접종하도록 권장 |
- 장티푸스 보균자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사람
- 장티푸스 유행지역으로 여행하는 사람
- 장티푸스 균을 취급하는 실험실 요원
- 간이 급수시설 지역 중 불안전 급수지역 주민, 집단 급식소 종사자
- 식품위생 조리에 종사하는 사람
- 집단 : 급식소에서 조리에 종사하는 사람 |
|
2) 접종 시기 |
- 경구용(만 6세 이상으로 격일로 총 3~4회 투여하고 3년마다 추가접종)
- 주사용(만 2세 이상으로 1회 주사하고 3년마다 추가접종) | |
|
장티푸스 예방접종후의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
장티푸스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실제로 드뭅니다.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것은 접종 후 통증, 발적, 단단하게 굳음, 불쾌감, 가려움 등이 있습니다. | |
출처: http://niptmp.cdc.go.kr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