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niptmp.cdc.go.kr/vaccinfo/images/img_info_14.gif) |
|
|
신증후군출혈열은 어떻게 전파될까요? |
들쥐의 배설물에 의한 호흡기 또는 상처를 통한 직접접촉으로 전염됩니다. |
|
신증후군출혈열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잠복기는 평균 약 2~3주 정도이며 급성으로 발열, 피가 나는 경향이 있고, 신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
|
신증후군출혈열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치료를 위한 특이요법은 없고 임상경과 시기별로 적절한 대증요법을 실시합니다. 치료에 앞서
출혈이나 쇼크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대 안정이 필요합니다. |
|
신증후군출혈열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
다발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며,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을 통해
신증후군출혈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
1) 접종 대상 :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은 고위험군에게 우선접종하도록 권장 |
- 발생률이 높은 지역에 거주 혹은 근무하며, 군인 및 농부 등 직업적으로 신증후군출혈열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집단
- 신증후군출혈열 바이러스를 다루거나 쥐 실험을 하는 실험실 요원
- 야외활동이 빈번한 사람 등 개별적 노출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자 |
|
2) 접종 시기 : 기본접종은 한달 간격으로 2회접종하고 12개월 뒤에 1회접종 | |
|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후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실제로 드뭅니다.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것은 접종 후 가려움증, 색소침착, 발적, 통증, 근육통, 부종, 발열, 권태감,
구역질질 등이 있습니다. |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