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폐구균은 어떻게 전파될까요? |
정상인이나 환자의 상기도에 있는 폐구균은 직접 접촉이나 기침이나 재채기로 전파됩니다. |
|
폐구균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폐구균 감염의 가장 흔한 양상인 폐구균 폐렴은 잠복기 1~3일을 거쳐 갑작스러운 고열과 오한,
객담을 동반한 기침, 흉통, 호흡곤란 등을 동반한 폐렴으로 나타나며. 뇌막염의 경우 고열, 두통,
구토 증상이 발생합니다. |
|
폐구균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기간은 감염 부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
폐구균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
폐구균 예방접종을 통해 폐구균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의 비용효과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국가에서는 모든 영유아에게 폐구균 예방접종을 권장하지 않고 감염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 접종을
권장합니다. |
|
1) 접종 대상 |
- 생후 2개월~5세 이하의 소아로서 폐구균 감염의 위험이 높은 소아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 신증후군
- 장기 이식, Hodgkin병 등으로 인해 면역억제 요법으로 면역기능이 억제된 경우
- 뇌척수액 누출
- 인간면역결핍증 바이러스 감염 소아
- 겸상구 빈혈 환아 |
|
2) 접종 시기 |
- 생후2, 4, 6 개월에 3회 기초접종
- 생후12~15개월에 1회 추가접종
※ 단 접종약에 따라 접종시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 |
|
폐구균 예방접종후의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
폐구균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실제로 드뭅니다.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것은
접종 후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이 있습니다. | | |
출처: http://niptmp.cdc.g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