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ld313 영유아 국가 필수 예방접종별 정보 - 유행성이하선염 (Mumps) 유행성이하선염은 어떻게 전파될까요? 유행성이하선염은 비말감염, 타액과의 접촉을 통해서 일어납니다. 유행성이하선염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발병 초기에 발열, 두통, 근육통, 식욕부진, 구토 등의 증상이 1~2일간 나타납니다. 후에 한쪽 또는 양쪽 볼이 붓는 증상이 1주정도 지속됩니다. 드물게 뇌수막염이나 고환염 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유행성이하선염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대다수의 환자가 자연 치유되므로 대증요법으로 충분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진통제를 투여합니다. 유행성이하선염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MMR예방접종을 통해 유행성이하선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접종 대상 : 모든 영유아 2) 접종 시기 : 생후 12~15개월과 만 4~6세 때 각각 1회.. 영유아 국가 필수 예방접종별 정보 - 홍역 (Measles) 홍역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홍역은 감염성이 강하여 접촉자의 90% 이상이 발병합니다. 감염경로는 호흡기 분비물 등의 비말(droplet)에 의하거나 오염된 물건을 통하여 호흡기로 감염됩니다. 홍역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발열, 콧물, 결막염, 얼굴에서 몸통으로 퍼지는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한번 걸린 후 회복되면 평생 면역을 얻게 되어 다시 걸리지 않습니다. 홍역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 보존적이며 대증적인 방법으로 치료합니다. 홍역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MMR예방접종을 통해 홍역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접종 대상 : 모든 영유아 2) 접종 시기 : 생후 12~15개월과 만 4~6세 때 각각 1회 접종 MMR 예방접종후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MMR 예방접종 후.. 영유아 국가 필수 예방접종별 정보 - 백일해 (Pertussis) 백일해는 어떻게 전파될까요? 기침이나 재채기 등에 의한 호흡기 전파가 주된 경로입니다. 백일해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초기에는 콧물, 재채기, 미열, 경미한 기침 등의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발생하며 기침이 점진적으로 심해져서 1~2주가 경과하면 매우 심한 기침발작이 2~6주간 더 지속되다가 기침발작의 빈도나 정도가 줄어들면서 점진적으로 회복기로 접어들게 됩니다. 신생아의 경우 심한 발작적인 기침으로 사망률이 높습니다. 백일해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항생제를 초기에 투여하고 호흡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일해는 어떻게 예방하나요? DTaP 예방접종을 통해 백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접종대상 : 모든 영유아 2) 접종 시기 -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 생후 15~18개월과 .. 영유아 국가 필수 예방접종별 정보 - 파상풍 (Tetanus) 파상풍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파상풍은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지 않습니다. 파상풍균은 토양 등의 환경에 존재하며 질병의 전파는 오염된 상처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파상풍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잠복기는 1일~수개월까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3일~3주 이내에 증상이 발생하고, 상처가 심할수록 잠복기가 짧아집니다. 전신 경직 등이 발생하고 높은 사망률을 보입니다. 파상풍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초기에 항독소, 항생제를 투여해야 합니다. 파상풍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DTaP 예방접종을 통해 파상풍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접종대상 : 모든 영유아 2) 접종 시기 -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 생후 15~18개월과 만 4~6세 때 각각 1회 추가접종 - 만 11~12세 때 Td 접종 DTaP ..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79 다음 반응형